PISA Shock: Germany's Wake-Up Call
PISA 쇼크: 독일의 경각심
https://www.youtube.com/watch?v=liyn5xWvx44Shadowing Practice
Listen and repeat after the audio. Focus o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I mean, in Germany, people talk about Pisa shock in Germany, because they thought
제 말은, 독일에서는 사람들이 독일의 PISA 쇼크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they were very good, but there was also an element of complacency,
자신들이 매우 잘한다고 생각했지만, 또한 자기만족의 요소도 있었기 때문입니다.
and they got the Pisa results first time around
그리고 그들은 첫 번째 PISA 결과를 받았을 때,
and realised that in fact, they were pretty awful.
실제로 그들이 꽤 형편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And that turned into quite a political scandal.
그리고 그것은 상당한 정치적 스캔들로 변했습니다.
'Our scores aren't as good as we thought they were,
'우리의 점수가 우리가 생각했던 것만큼 좋지 않다.
what are we going to do with ourselves?'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The other end of the spectrum, there are countries who see education
스펙트럼의 다른 쪽 끝에는, 교육을
as their way out, as some individuals always have in their lives.
자신들의 탈출구로 보는 나라들이 있습니다. 일부 개개인이 자신의 삶에서 항상 그랬듯이요.
John mentioned Singapore in the 1960s.
존이 1960년대의 싱가포르를 언급했습니다.